Knowledge
-
JAVA - 증감 연산자를 앞에 붙일 때와 뒤에 붙일 때의 차이! ( 선위 증감연산자 / 후위 증감연산자 )Knowledge/Java 2019. 10. 10. 00:28
++ 은 변수의 값을 1 증가시키는 연산자고 --은 변수의 값을 1 감소 시키는 연산자다. 이는 변수 앞에 붙일 수도 있고 뒤에 붙일 수도 있다. 이를 앞에 붙이면 '선위 증감 연산자'라고 하고 뒤에 붙이면 '후위 증감 연산자'라고 한다 근데 변수에 한번 붙여보면 별 차이가 없어 보인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int front = 1; // 증감 연산자를 앞에 붙일 변수 - 1로 초기화 int back = 1; // 증감 연산자를 뒤에 붙일 변수 - 1로 초기화 ++front; // 선위 증감 연산자 사용 back++; // 후위 증감 연산자 System.out.println(front); // 2출력 System.out.println(back)..
-
Java 상수 ( final은 무엇인가 )Knowledge/Java 2019. 10. 10. 00:00
Java에서의 상수 선언은 기본적으로 변수 선언과 크게 다르지 않다. 변수는 1 2 int i; // 변수 i 선언 이렇게 데이터 타입 + 변수 이름의 조합으로 선언한 변수 앞에 1 2 final int j; // 상수 j 선언 이렇게 final만 붙이면 상수가 선언된다. 대신 대문자 명명규칙과 띄어쓰기가 필요한 경우 _을 쓸 것을 권장하니 1 2 3 final int J; 이렇게 선언하자. 이 상수는 변수와 달리 한번 값을 할당하면 다시는 값을 할당할 수 없는데 이런 상수를 어디다 쓸까? 크게 두가지다 1. 값이 변하면 위험한 경우 2. 값만 봤을때 무엇을 의미하는지 쉽게 파악할 수 없는 값을 사용할 때 1의 경우는 로직에 원주율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예를 들어보자 이럴 때 원주율 값이 변해..
-
Java 변수, 리터럴, 자료형, 형변환Knowledge/Java 2019. 10. 9. 21:29
Java에서 변수는 타입과 변수 이름으로 선언한다. 1 2 3 int count; // 타입 : int // 변수 이름 : count 이때 변수 이름은 _ 나 $나 문자( 한글도 되지만 영어로 쓰자 )로 시작해야 한다 ( 필수 ) 또한 java 변수 이름은 낙타표기법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 권장이지만 그냥 필수라고 외우자 ) ( 낙타 표기법 : 소문자로 시작하고 띄어쓰기가 필요한 부분은 대문자로 쓰는 표기법 ex - camelCase ) 변수는 단 하나의 값만을 담을 수 있다. 예를 들어 1 2 3 4 5 6 7 8 9 10 11 count = 10; // 10을 담으면 System.out.println(count); // count 값으로 10이 출력되지만 count = 20; // 20을 담으..
-
생활코딩 리눅스 강좌 요약 및 정리 - 사용자 / 권한 / 그룹Knowledge/Linux 2019. 10. 5. 20:25
이 포스팅은 6편 ( https://takeknowledge.tistory.com/70 ) 에 이어 작성하는 것입니다. 프로세스와 실행에 대한 정보는 6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id, who 리눅스는 다중사용자 시스템이다. id와 who는 이 때문에 존재하는 명령어다 먼저 id를 입력하면 이렇게 uid 와 gid라는 것들의 내용이 쭉 나오는데 이 때 uid는 userid / gid는 groupid다 명령어 who를 입력하면 위의 user중 누가 지금 리눅스 시스템에 접속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의 추가 useradd 명령어를 통해 사용자는 추가할 수도 있다. sudo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는 일반 사용자 id로 들어가 sudo useradd -m 사용할 아이디 를 입력해 id를 생성하고 s..
-
생활코딩 리눅스 강좌 요약 및 정리 - 프로세스와 실행Knowledge/Linux 2019. 10. 4. 20:42
이 포스팅은 5편 ( https://takeknowledge.tistory.com/69 ) 에 이어 작성하는 것입니다. 쉘과 쉘스크립트에 대한 정보는 5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프로세스 모니터링 리눅스에선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ps, top , htop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하면되고 명령어는 프로그램의 이름과 같다 ps부터 입력해보면 별 게 나온지 않는다.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은 단순히 ps만 쳐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ps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프로그램까지 모니터링하기 위해선 ps aux를 입력해줘야한다. 그러면 굉장히 많은 프로그램을 볼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top. 입력하면 ps보다 훨씬 더 상세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htop은 이보다 좋은데 ..
-
생활코딩 리눅스 강좌 요약 및 정리 - 디렉토리 구조와 파일찾는 법Knowledge/Linux 2019. 10. 4. 17:05
이 포스팅은 4편 ( https://takeknowledge.tistory.com/68 ) 에 이어 작성하는 것입니다. 쉘과 쉘스크립트에 대한 정보는 4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디렉토리 구조 리눅스 최상위 root 폴더는 / 다. cd / 로 이동해서 리스트를 보면 위와 같이 나온다. 이 중 중요한 몇몇 디렉토리들의 내용을 정리해보자면 bin :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명령들이 위치한다 sbin : 시스템 관리 목적의 명령들이 위치한다 etc : 각종 설정 파일들이 위치한다 var : 가변적인 파일들이 위치한다 tmp : 임시 파일들이 위치한다. ( 시스템이 재부팅되면 안의 내용들이 사라진다 ) home : 유저들의 홈 디렉토리가 위치한다 lib : 시스템 공통 라이브러리들이 위치한다 opt : 추가적인 ..
-
생활코딩 리눅스 강좌 요약 및 정리 - 쉘과 쉘스크립트Knowledge/Linux 2019. 10. 4. 15:17
이 포스팅은 3편 ( https://takeknowledge.tistory.com/67 ) 에 이어 작성하는 것입니다. IO Redirection에 대한 정보는 3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Shell Shell은 Kernel에 명령을 전달하는 역할은 한다. Kernel은 하드웨어를 직접 제어하는 리눅스의 핵심부다 이런 Shell 프로그램은 여러가지 ( ex - bash, zsh ... ) 가 있고 약간씩 차이점이 있다. 이런 쉘 프로그램은 유저가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Shell Script 여러개의 Shell 명령어가 필요할 경우 Script로 만들어서 한번에 실행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렇게 실습에 필요한 폴더와 파일을 만들고 이렇게 bak 폴더를 만들어서 .log로 끝나는 모든 파일을 b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