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활코딩 리눅스 강좌 요약 및 정리 - 리눅스 기초 (1)Knowledge/Linux 2019. 10. 1. 22:56반응형
리눅스에 대해 공부할 필요를 느껴서 생활코딩 리눅스 강좌를 들었습니다
생활코딩 리눅스 강좌 - 인프런
본 수업에서는 리눅스의 사용법을 다룹니다. 특히 초심자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이 명령어를 이용해서 컴퓨터를 제어하는 법입니다. 여기서는 초심자가 명령어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가장 보편적인 규칙을 최소한으로 다룹니다. 초급 서버 인프라 Linux 온라인 강의
www.inflearn.com
리눅스 - 생활코딩
수업소개 인터넷과 함께 웹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저렴한 운영체제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터가 등장하면서 이제 컴퓨터는 필요할 때 사용하고, 필요 없을 때 언제든지 버려질 수 있는 소모품이 되고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운영체제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습니다. 사물 인터넷의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전구나 화분과 같이 지금까지는 사물이라고 생각했던 것들에 초소형 컴퓨터가 들어가고, 자연스럽게 이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는 운영체제에
opentutorials.org
실습은 강좌에서 소개해주는 방법 중 AWS Cloud 9 ( https://aws.amazon.com/ko/cloud9/ )을 택해서 진행했고
복습을 위해 수강 후 정리 및 요약 포스팅을 남겨봅니다
- 리눅스 기초
- 디렉토리와 파일1
리눅스는 CLI ( Command Line Interface - 명령어 기반 인터페이스 ) 다.
그리그 그 명령어는 현재 머물고 있는 디렉토리를 대상으로 내려진다.
현재 머물고 있는 디렉토리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는 pwd 다.
해당 디렉토리는 현재 아래와 같은 모습인데
mkdir 폴더이름 명령어를 활용해 폴더를 만들어 줄 수도 있다
폴더 생성 완료! 이후 해당 디렉토리에 있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 ls를 입력하면
커맨드로도 디렉토리 안에 있는 폴더와 파일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뒤에 - 기호를 붙여 파라미터(옵션)를 줄 수도 있다
예를들어 ls 뒤에 -l 을 붙여 ls -l 이란 명령어를 입력하면
이렇게 디렉토리의 내용을 좀 더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가장 앞의 README.md 앞에는 없지만 hello_linux 앞에는 있는 'd'는 이것이 디렉토리인지 파일인지 구분해주고
그 뒤에는 순서대로 파일에 대한 권한, index, 파일 소유자, 용량(byte), 생성일, 생성시간 파일/폴더명 등의 정보다
- 디렉토리와 파일2
당연히 디렉토리를 이동할 수도 있다
change directory의 약자인 cd를 입력하고 이동할 폴더명을 입력하면
이렇게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위 폴더로 이동할 때는 굳이 폴더명을 입력하지 않아도 cd .. 라는 명령어만 입력하면
이렇게 상위 폴더로 이동이 가능하다
rm 명령어를 이용해 삭제도 가능한데
위에서 볼 수 있듯 파일은 rm 파일명 명령어만으로 삭제가 가능하지만
폴더명은 rm -r 폴더명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해야만 삭제가 가능한데
이렇게 명령어 뒤에 붙는 파라미터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명령어 --help 명령어를 입력하면
세부내용들을 확인할 수 있으니 굳이 모든 명령어를 외우고 있을 필요는 없다 ( 쓰다보면 손에 익겠지만 )
마지막으로 온갖 명령어로 더럽혀진 커맨드창에 clear 명령어를 입력하면
명령창이 이렇게 깔-끔해진다
- -- help와 man
매뉴얼은 명령어 --help 명령어로만 확인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좀 더 상세한 메뉴얼은 'man 명령어' 명령어를 활용해 확인할 수 있는데
이건 아예 화면이 전용 메뉴얼 페이지로 이동한다.
스크롤은 방향키로 조종할 수 있으며
메뉴얼 페이지에서 /찾고 싶은 단어를 위와 같이 입력하면
메뉴얼 내에서 해당 단어를 찾아 스크롤을 이동하고 표시해준다.
이 때 n키를 누르면 다음 단어, 그러니까 이 경우 다른 explain이 있는 부분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 메뉴얼 페이지에서 빠져나오는 건 q 버튼을 누르면 된다
필요한 명령어는 google에서 서치가 가능하니
그렇게 찾은 명령어 뒤에 이 --help와 man을 적절히 활용하면 명령어 사용에는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단지 영어에 어려움이 있을 뿐.. ㅋ)
- sudo
super user do의 약자(라고한)다.
권한이 필요해서 실행이 안되는 명령어가 있을 수 있는데
그런 것을 말그대로 super user의 권한으로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다. 예를 들어
이렇게 그냥 git을 설치하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설치는 안해주고 너 루트냐고만 묻지만
이렇게 앞에 sudo 를 붙여서 명령어를 입력하면 군말없이 설치해준다.
역시 권력은 무서운 것...
- 정리
pwd : 현재 디렉토리 확인
ls : 디렉토리 내부 확인
mkdir : 디렉토리 생성
cd : 디렉토리 변경
rm : 삭제
명령어 --help : 명령어 파라미터 매뉴얼 확인
clear : 커맨드창 정리
man 명령어 : 명령어 상세 메뉴얼 페이지로 이동
sudo : 무엇이든 실행할 수 있는 super user 권한 부여
반응형'Knowledge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코딩 리눅스 강좌 요약 및 정리 - 프로세스와 실행 (0) 2019.10.04 생활코딩 리눅스 강좌 요약 및 정리 - 디렉토리 구조와 파일찾는 법 (0) 2019.10.04 생활코딩 리눅스 강좌 요약 및 정리 - 쉘과 쉘스크립트 (0) 2019.10.04 생활코딩 리눅스 강좌 요약 및 정리 - IO Redirection (0) 2019.10.02 생활코딩 리눅스 강좌 요약 및 정리 - 리눅스 기초 (2) (0) 2019.10.01